카테고리 없음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아주간단 정리.

일상로그 2019. 10. 24. 14:54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주식 거래 시장 이름들, 들어는 봤지만 이해할 수 없는

단어들, 이름은 친숙한데 무슨뜻인지 잘 모른다는. 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코스닥 코스피 차이 간단하게 정리 해 볼게요.

 

코스닥 코스피 차이?

주식에 관심은 없더라도 코스피,코스닥이 얼마 올랐고 얼마 떨어졌고 이런 말들은 많이 들어봤을거예요. 가장 큰 차이는 아무래도 상장된 기업들의 규모

​코스피는 1,2차 산업 및 중공업 매출 규모가 큰 기업들이 많고 기업간의 거래가 활발하지만 이미 무거운 시가총액으로 변동성이 적어 수익을 내는 코스닥보다는 힘든 편입니다.

반면 코스닥의 경우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도 많고 벤처기업이 많이 포진해 있어

수익성은 높지만 그만큼의 폭락이나 상폐등의 위험성이 많이 존재합니다.

 

 

 


코스피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장기업들의 주식 변동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여 작성한 지표를 의미하며 우리나라 대표 주가지수라고 보면 되고 코스피에는 삼성이나 LG등의 대기업 종목을 상장하여 거래하는 시장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라 상장 조건도 까다롭고 일정 규모를 갖춘 기업들만이 상장이 가능하죠.

 

 


코스닥은 전자거래시스템으로 운영되는 한국의 장외주식거래시장을 의미합니다.

​코스닥은 미국의 나스닥을 벤치마킹하여 만든 증권시장으로 주로 IT기업이나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이 많이 상장되어 있어요. 현재는 자금 조달 시장 및 투기시장으로 증권거래소 시장과는 다른 독립적인 시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코넥스는 장외 시장입니다.

그렇지만 hts 에서 거래 가능합니다.

 

일정 요건을 갖춘 비상장 기업에 문호를 개방하기 위해 개설하는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에 이은 제3의 주식시장을 일컫는다. 코넥스시장은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짧은 경력 등을 이유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초기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이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된 자본시장으로, 2013년 7월 1일 개장되었다.

코넥스 진입요건

1. 자기자본 5억 원

2. 매출액 10억 원

3. 순이익 3억 원 중 한 가지만 충족하면 가능.

코넥스 상장 기업은 64개 항목에 대한 공시를 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사들과는 달리 29개 항목에 대해서만 공시하면 된다. 특히 코넥스 시장에는 지정자문인이 된 증권사가 중소기업을 발굴해 코넥스에 상장시키고 관리하는 역할까지 담당하게 되는 지정 자문인 제도가 신설되었다. 지정 자문인은 상장 예비기업에 대한 적격성 심사, 전문투자자 대상 주식 판매 주선 등을 관할하고 상장 이후에는 공시,신고 대리 업무, 유동성공급자 호가 제출의무 등을 하게 된다.